웹을 지탱하는 기술을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틀린 부분은 지적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Cool URI어느 날 북마크해둔 페이지에 접속했는데, 404 Not Found 페이지가 뜨면 기분이 어떨까? 아무래도 그 페이지를 다시 찾아야하는 귀찮음이 먼저 느껴질 것이다. 이처럼 좋은 URI는 변하지 않게 설계하는 것이 좋다. 이런 좋은 URI를 바로 Cool URI라고 부른다.웹의 발명자 팀 버너스-리(Tim Berners-Lee)가 발표한 Cool URIs don't change를 보면 자세하게 나와있다.변하지 않는 URI 설계URI는 여러 환경에 의해 변경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변하지 않는 URI로 웹 서비스를 구축할 수는 있다.프로그래밍 언어에 의존적인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http://examp..
웹을 지탱하는 기술을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틀린 부분은 지적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URI란, 직역하자면, 유니폼 리소스 식별자이며, 웹 상에 존재하는 리소스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리소스를 통일적으로 식별하는 ID이다. 즉, 리소스를 통일적으로 식별하는 ID를 의미한다.URI의 스펙은 RFC 3986 -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Generic Syntax에서 확인할 수 있다.URI의 구문http://blog.example.com/entries/1스키마 (Scheme)프로토콜을 나타낸다.위 주소에서 http를 의미하며, ://를 기준으로 구분된다.호스트명 (Host Name)DNS(Domain Name S..
웹을 지탱하는 기술을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틀린 부분은 지적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아키텍처 스타일아키텍처 스타일이란, 복수의 아키텍처의 공통된 성질, 양식, 규정 혹은 독특한 방식으로, 아키텍처 패턴이라고도 불린다.디자인 패턴은 마이크로 아키텍처 패턴라고 불리기도 하며, 아키텍처 스타일보다 입도가 작은 클래스 등의 설계 양식을 의미한다. 순수한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 스타일에 몇 가지 제약을 더해가면, REST 아키텍처 스타일이 된다. 제약은 복수의 컴포넌트가 따로따로 움직여 동작하지 않고, 협력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구현에서 추상도를 한 단계 올린 것이 아키텍처이고, 아키텍처에서 추상도를 한 단계 더 올린 것이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리소스리소스란, 웹 상에 존재하는 이름을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