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hy's Blogitory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Jwhy's Blogitory

  • 분류 전체보기 (114)
    • Book Study (49)
      • [Java] 이펙티브 자바 (19)
      • [Kotlin] 코틀린 코루틴 (6)
      • [Kotlin] 코틀린 인 액션 (4)
      • [Kotlin] 객체에서 함수로 (4)
      • [Web] 웹을 지탱하는 기술 (9)
      • [Web] HTTP2 IN ACTION (5)
      • [Spring] 토비의 스프링 3.1 (0)
      • [Theory] 출.스.마 (1)
      • [CS] 누구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1)
    • Devlog (6)
      • Kotlin (1)
      • Project (2)
      • Java (0)
      • Git (3)
    • Kotlin (13)
      • 이론 (1)
      • 기능 정리 (1)
      • [Inflearn] 코틀린 입문 (11)
    • Spring (27)
      • 이론 (1)
      • 프로젝트 (1)
      • 트러블 슈팅 (13)
      • 기능 정리 (11)
      • 리뷰 (1)
    • Java (2)
      • 이론 (2)
    • PS (13)
      • 그래프 (2)
      • 이론 (1)
      • 정렬 (2)
      • 컬렉션 (0)
      • 백트래킹 (6)
      • DFS (1)
      • DP (1)
    • DevOps (4)
      • AWS (4)
  • 홈
  • 태그
  • 방명록

[Spring] - Optional

💭 Opiotnal이란? Spring 예시 코드를 통해 간단하게 이해해보자! public class PostController{ @GetMapping("/post/{id}") public String postDetail(@PathVariable long id, Model model) { Post currentPost = postService.findPostById(id); model.addAttribute("post", currentPost); return "post/detail"; } } public class PostService{ public Post findPostById(long id) { // findById의 반환타입이 Post라고 가정 return postRepository.findById..

  • format_list_bulleted Spring/기능 정리
  • · 2023. 9. 10.
  • textsms

[Spring] - Model Mapper

Model Mapper Entity를 DTO로 혹은 DTO를 Entity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한다. (Entity 🔄 DTO) ⚙️ Setting # build.gradle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modelmapper:modelmapper:3.1.1' }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odelMapper modelMapper() { return new ModelMapper(); } } 🛠 Entity & DTO @Entity @SuperBuilder @Getter @Setter ... public class Post extends BaseEntity { private String title; priv..

  • format_list_bulleted Spring/기능 정리
  • · 2023. 9. 10.
  • textsms

[Spring] - 좋아요 기능 구현

🛠️ 개발 환경 🎨 IDE : Intellij Ultimate 🍃 Spring : Spring Boot 2.7.x + Spring Security 🖥️ View : Thymeleaf 🛠️ Java : Amazon corretto 11 Ajax란? Ajax란,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의 약자이다. 우리는 보통 이 기능을 JS를 이용해 서버와 비동기적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데 사용한다. 식당을 예시로 들어보자! 손님이 밥을 먹기 위해 식당에 들어왔다. 손님은 홀 매니저에게 제육 볶음을 주문했다. 홀 매니저는 주방장에게 제육 볶음 주문을 알린다. 주방장이 뚝딱 만들어서 홀 매니저에게 전달한다. 홀 매니저가 손님에게 전달한다. 여기서 손님을 사용자, 홀 매니저를 서버, 주방장을 ..

  • format_list_bulleted Spring/프로젝트
  • · 2022. 2. 27.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5
  • navigate_next
공지사항
전체 카테고리
  • 분류 전체보기 (114)
    • Book Study (49)
      • [Java] 이펙티브 자바 (19)
      • [Kotlin] 코틀린 코루틴 (6)
      • [Kotlin] 코틀린 인 액션 (4)
      • [Kotlin] 객체에서 함수로 (4)
      • [Web] 웹을 지탱하는 기술 (9)
      • [Web] HTTP2 IN ACTION (5)
      • [Spring] 토비의 스프링 3.1 (0)
      • [Theory] 출.스.마 (1)
      • [CS] 누구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1)
    • Devlog (6)
      • Kotlin (1)
      • Project (2)
      • Java (0)
      • Git (3)
    • Kotlin (13)
      • 이론 (1)
      • 기능 정리 (1)
      • [Inflearn] 코틀린 입문 (11)
    • Spring (27)
      • 이론 (1)
      • 프로젝트 (1)
      • 트러블 슈팅 (13)
      • 기능 정리 (11)
      • 리뷰 (1)
    • Java (2)
      • 이론 (2)
    • PS (13)
      • 그래프 (2)
      • 이론 (1)
      • 정렬 (2)
      • 컬렉션 (0)
      • 백트래킹 (6)
      • DFS (1)
      • DP (1)
    • DevOps (4)
      • AWS (4)
최근 글
인기 글
최근 댓글
태그
  • #java
  • #백트래킹
  • #자바
  • #kotlin
  • #스프링 배포
  • #이펙티브자바
  • #코틀린
  • #이펙티브 자바
  • #제네릭
  • #백준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전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